아도르노는 자신이 살아있는 현대, 즉 20세기를 우울의 시대로 규정했다.
스스로를 포함하여 우울의 시대에서 우울할 수 밖에 없는 실존적 존재들을 위로하려고 아도르노는 책 한권을 썼다.
나는 나와 타인들을 위해 아무 것도 안 하지만, 단언만 하자면 오늘날의 시대를 광기의 시대로 규정하고 싶다.
우울한 세상에서 우울하지 않고 살기 어렵듯 미친 세상에서 미치지 않고 사는 게 힘든 법이다.
왜 이 시대가 미쳤냐고? 그에 대한 증거는 많지만 열거하자니 미칠 지경이네...
평온하고 작은 내 블로그에 어울리는 소소한 증거로는 최근에 많은 관객을 동원한 영화 조커를 들겠다.
조커의 세계적 인기는 제쳐두고서라도 조선 반도에서만의 광풍은 매해 10월 말 이태원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빌런이 너무 매력적이라서 인기가 있는 게 아니라 관객이 광기의 시대를 살아가는 자신의 미친 자아의 조각을 캐릭터를 통해 투사했기 때문이리라.
한편 폭풍같은 11월을 마무리하면서 지난 주말에 우디 앨런의 이레셔널 맨(미친놈으로 번역해도 될듯)을 봤다.
우디 앨런 영화인지도 모르고 봤는데 보다보니 드는 기시감은 어쩔 수 없더라.
철학과 교수가 그렇지 뭐 싶다가도 역시 공포와 슬픔, 허무 그리고 분노를 겪고 나면 인간에게 남는 것은 광기밖에 없구나 싶었다.
나도 한 때는 미친놈에 어울리는 미친 사람으로 사는 게 좋다고 확신하기도 했는데 이젠 잘 모르겠다.
그렇게 살기 싫다. 하긴 누군들 그러겠냐만은. 그리고 누굴 탓하겠냐만은.
뭐 암튼 그러다 며칠 전 카이로의 붉은 장미를 클립을 보고 확실히 20세기의 우디 앨런 영화와 21세기의 우디앨런 영화는 질적으로 차이가 난다고 느꼈다.
우디 앨런의 옛날 영화는 비현실적이고 작고 귀엽고 슬프다면 요즘 영화는 현실적이고 골 때리고 가슴 먹먹하다.
우디 앨런 역시 우울의 시대에서 광기의 시대의 변이를 영화를 통해 보여주고 있었다. 아님 그도 그냥 미친 거다.
그렇다면 나는 이 미친 세상에서 뭘 남기면 좋을까 아님 미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
글쎄 지금 당장은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해하는 것과 받는 것 (0) | 2020.01.31 |
---|---|
고민이 있냐구 (0) | 2019.12.19 |
되는 대로 사는 나라의 착실한 청년 (0) | 2019.11.26 |
찾길 바래 (0) | 2019.11.20 |
뫼비우스의 띠 (0) | 2019.11.11 |